Better Skin, Better Life

보타닉센스 공식 블로그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스킨케어에 적용하여 건강한 피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합니다

아토피

아무리 발라도 낫지 않는 아토피 ? 문제는 나트륨일 수 있다

소금과 피부 건강에 대한 과학적 시선

한국인의 식단은 영양 균형이 잘 잡혀 있다고 평가받지만, 한 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나트륨 섭취량이 과도하다는 것이죠.

WHO(세계보건기구)의 권고에 따르면 성인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2,000mg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한국인의 평균 섭취량은 그 1.8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젓갈, 장아찌, 짠 국물 요리 등 짠맛이 식문화로 자리잡은 한국인의 밥상은 어느새 건강에 경고등을 켜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트륨은 단지 고혈압이나 심장병의 원인일 뿐일까요?

최근 연구는 과도한 나트륨 섭취가 피부 건강, 특히 아토피와 알레르기성 피부염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나트륨이 면역 세포를 바꾼다?: 소금과 알레르기 반응의 관계

독일 뮌헨 공과대학교 크리스티나 질린스키 박사팀은 소금(염화나트륨)이 인체 면역세포의 반응을 바꾼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T세포가 소금에 노출되면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는 Th2 세포로 변화하고, 이 과정에서 아토피 관련 물질인 인터루킨-4, 인터루킨-13의 분비가 활발해졌다는 것이죠.

이는 단순한 가설이 아닙니다.

연구팀은 실제 아토피 환자의 피부 조직과 정상 피부를 비교한 결과, 아토피 피부의 나트륨 농도가 최대 30배 이상 높다는 사실도 밝혀냈습니다.

게다가 아토피 피부에서 잘 증식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은 나트륨 농도가 높은 환경을 좋아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어, 피부 염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나트륨은 단순한 조미 성분이 아니라, 피부 면역 균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나트륨 섭취와 아토피의 인과관계는?

아직 음식으로 섭취한 나트륨이 직접적으로 피부 내 나트륨 농도를 높이고, 아토피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과도한 섭취 → 피부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반대로 피부 상태의 변화가 → 나트륨 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일 수도 있죠.

하지만 중요한 점은 나트륨을 줄이는 것이 피부뿐 아니라 전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입니다.

즉, 아토피 증상이 있든 없든 소금 섭취를 줄이는 노력은 누구에게나 이로운 습관입니다.

아토피 나트륨

생활 속 나트륨 줄이기 실천법

숨은 나트륨을 조심하세요

눈에 보이는 소금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 인스턴트 식품
  • 베이킹 파우더가 들어간 케이크나 빵
  • 소스류(토마토케첩, 다시다 등)

이 모든 것들이 숨은 나트륨 공급원입니다. “짜지 않다”고 느끼는 음식도, 나트륨 함량은 상당할 수 있습니다.

식품 포장지의 ‘나트륨(mg)’ 함량 라벨을 꼭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나트륨 배출 돕는 미네랄 섭취하기

몸속 나트륨을 배출하려면 칼륨,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이 필요합니다.

  • 칼륨: 시금치, 바나나, 호박, 귤
  • 칼슘: 우유, 요거트, 멸치
  • 마그네슘: 견과류, 콩, 현미

이들 식품을 의식적으로 식단에 포함하면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조리법으로 맛의 균형만들기

소금 없이도 음식은 맛있을 수 있습니다.

  • 감칠맛을 내는 MSG나 다시마 육수 활용
  • 초절임, 식초, 발효 조미료 등 산미 활용
  • 마늘, 생강, 커민, 고수 등 다양한 향신료 사용

이런 방법들은 나트륨은 줄이고, 맛은 지키는 훌륭한 대안입니다.

Botanicsens가 소개한 지난 블로그 글 “MSG는 실은 몸에 나쁘지 않다?”도 참고해보세요.

MSG vs 소금

피부 건강을 지키는 가장 실천적인 첫걸음

피부는 우리가 먹는 것, 움직이는 것, 살아가는 태도에 따라 반응하는 민감한 기관이지요..

나트륨을 줄이는 식습관은 피부염, 아토피 증상을 관리하는 데 있어 바를 수 있는 크림만큼이나 의미 있는 시작일 수 있습니다.

작은 습관의 변화가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고, 면역의 균형을 되돌리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좋은 습관이 피부를 바꿉니다. Botanicsens는 그 변화를 함께합니다.”

참고 문헌:

[i] Zwick, R. K., et al. (2018). High sodium chloride environments increase Th2 cytokine production and promote atopic dermatitis-like responses. Cell Reports, 25(10), 2722–2733.

[ii] Munich University of Technology, Christina Zielinski Group Research Summar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