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Skin, Better Life

보타닉센스 공식 블로그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스킨케어에 적용하여 건강한 피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합니다

오감 으로 맛 과 향 을 느끼는 이미지

맛은 입으로 느낄까 코로 느낄까?

오감으로 느끼는 맛

감기로 코가 막혔을 때 음식 맛이 느껴지지 않는 경험, 다들 해보셨을 겁니다.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혀만으로 맛을 느낀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코도 큰 역할을 합니다. 맛에는 미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이 관여합니다.

케이크를 밥그릇에 넣고 비벼 먹어도 혀로 느껴지는 맛은 같아야 하지만, 못생긴 케이크는 예쁘게 장식된 케이크보다 덜 맛있게 느껴집니다. 시각도 음식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청각 역시 맛을 음미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튀김을 먹을 때 바삭바삭한 소리가 없다면, 사이다를 따를 때 기포가 솨아 하고 올라오는 소리가 없다면 어떨까요? 음식의 맛에 청각이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요. ASMR 비디오가 인기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또한, 촉감도 중요합니다. 물러터진 귤을 먹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입안에서 느껴지는 촉각은 음식의 맛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시원한 냉면, 따뜻한 삼계탕처럼 음식의 온도도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강아지

혀의 미각 지도는 사실이 아니다?

어렸을 때 혀의 부위에 따라 신맛, 쓴맛, 단맛, 짠맛을 느낀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이 미각 지도는 사실 틀린 것입니다. 1

혀의 부위 별로 단맛에 더 민감한 부분, 쓴맛에 더 민감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맛 수용체 자체는 혀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 .

과학자들은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의 종류가 신맛, 쓴맛, 단맛, 짠맛, 이렇게 네 가지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감칠맛 수용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맛의 종류는 다섯 가지로 늘었습니다 . 이 수용체들은 혀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습니다.2

5가지의 맛 수용체와 400가지의 향 수용체

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의 다섯 가지 맛 수용체가 있다면, 향을 인식하는 향 수용체는 400가지나 됩니다.

코의 후각상피에 있는 향 수용체는 공기 중의 향 성분을 인식해 뇌에 전기 신호를 보냅니다. 향 성분마다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향 수용체가 이를 인식합니다.

케잌을 먹는 아이

장미 향 성분이 코에 들어가 향 수용체에 붙으면 뇌신경으로 전기 신호가 전해지고, 우리는 장미 향을 느끼게 됩니다.

보통 우리가 냄새라고 하는 것은 수많은 향 성분이 조합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에는 800가지가 넘는 향 성분이 섞여 있어, 이론적으로 사람이 구분할 수 있는 냄새의 종류는 1조 가지가 넘습니다 .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맛은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감칠맛뿐입니다.

맛의 강도가 다를 수는 있지만 향만큼 세세하게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느끼는 맛의 풍부함은 실은 향이 큰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느끼는 맛의 70-90% 정도는 향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1. The Tongue Map: Tasteless Myth Debunked
  2. Taste – Foundations of Neuroscienc

“맛은 입으로 느낄까 코로 느낄까?” 에 하나의 답글

  1. Learn more 아바타

    You have made some good points there. I checked on the net to learn more about the issue and found most individuals will go along with your views on this
    web sit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